<한국어 교육 연구> 논문 투고 규정 및 양식

 


제1장 논문 투고


 

제1조(논문의 내용) 투고 논문의 내용은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정책,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학 및 한국 문학, 다문화 및 문화 대조 등에 관련한 분야로 한다.


제2조(분량) 투고 논문은 논문 쪽수 25페이지 이내로 하고 이 분량을 초과한 논문에 대한 처리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을 따른다.


제3조(원고 제출)

1. 원고는 원칙적으로 온라인 논문 투고 시스템(http://kyobo015.medone.co.kr/html/)에서 접수한다.

2. 투고자는 투고 시스템 상에서 투고자의 인적 정보를 입력하되, 공동 연구의 경우 각 투고자의 인적 정보 및 역할을 입력한다.


제4조(원고 양식 준수) 투고 논문은 본 학술지의 논문 투고 양식을 엄격히 준수하여 작성해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아니할 경우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제5조(투고 자격) 논문 투고는 원칙적으로 회원으로 하고, 회원이 아니거나 연회비를 미납한 회원의 논문은 게재하지 않는다.

 

제6조(심사료, 게재료) 논문을 투고할 때에는 소정의 심사료를, ‘게재’가 확정된 후에는 게재료를 학회 계좌로 송금하고 전자우편으로 통지한다.


제7조(게재 증명 발급) 편집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게재’로 결정한 논문에 대해서는 한국어교육연구학회장 명의의 ‘게재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제8조(출판 수익) 본 학회는 게재 확정된 논문을 학술지 <한국어 교육 연구>에 실어 출판하고, 그에 따라 소정의 수익이 발생할 경우, 그 수익을 학회 예산으로 편입하여 활용한다.


제9조(저작권 활용 동의) 본 학술지에 ‘게재’로 확정된 경우 논문의 저자는 아래의 ‘저작권 양도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하여 학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ED%95%99%ED%9A%8C%EA%B7%9C%EC%A0%95-%20%EB%85%BC%EB%AC%B8%20%ED%88%AC%EA%B3%A0%20%EA%B7%9C%EC%A0%95_1.jpg

  

 

 



제2장 논문 투고 양식

 


제1조(워드프로세서) 투고 논문은 ‘ᄒᆞᆫ글(HWP)’로 작성하여야 한다.


제2조(한자와 로마자) 본문은 한글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한자와 로마자는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병기한다. 다만, 인용문은 한자나 로마자 또는 가나 문자의 원문을 그대로 쓸 수 있다.


제3조(초록 핵심어) 국문 초록, 외국어 초록 뒤에 핵심어를 명기한다.


제4조(논문 전체 형식) 논문 전체 형식은 다음 규칙을 따른다.(도표나 그림을 작성할 때에도 이 규정을 따라야 한다.)

1. 용지 종류: 사용자 정의 폭 150, 길이 225

2. 용지 여백: 위쪽 20, 아래쪽 8, 오른쪽 20, 왼쪽 20, 제본 0, 머리말 12.5, 꼬리말 15

3. 줄 간격: 본문 160, 각주와 참고문헌 160

4. 모든 글자: ① 본문 바탕체 10pt, ② 본문 장평 95, ③ 자간 –5 ④ 각주와 참고문헌 9pt, ⑤ 제목 14pt, ⑥ 장 12pt, ⑦ 절 11pt, ⑧ 항 11pt

 

제5조(세부 형식)

1. 제목과 성명

① 제목: 바탕체 14pt, 가운데 정렬

② 성명 및 소속: 3번째 줄, 바탕체 10.5pt, 오른쪽 정렬

③ 공동논문의 경우 제1저자의 이름을 맨 앞에 둔다.


2. 국문 초록 및 핵심어

① 국문 초록의 양은 A4 반 장 분량(800자 내외) 이상으로 작성하고 논문의 ‘서론-본론-결론’의 구조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함.

② <국문 초록> 바탕체 11pt, 가운데 정렬

③ 국문 초록의 내용은 바탕체 9pt,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④ 핵심어의 경우 국문 초록 작성 후 1줄 띄운 후 작성해야 함.

⑤ 핵심어: 바탕체 9pt, 진하게,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3. 제목, 성명, 국문 초록 예시

 

(예시)한국어교육과 문화(14p)

(한줄 띄기 10pt)

홍길동(00대학교)(바탕체 10.5pt, 오른쪽 정렬)

목차를 넣지 않음 (한줄 띄기 10pt)

<국문 초록>(바탕체 11pt, 가운데 정렬, 줄간격 160)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교육에 적합한 문화교육의 방법을 제안하는 것…….

(한줄 띄기 10pt)

핵심어(바탕체 9pt, 진하게, 들여쓰기 10pt):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4. 장, 절의 형식

① 1.(장): 바탕체 12pt, 진하게, 줄간격 160, 위 한 줄 띄움 12pt

② 1.1.(절): 바탕체 11pt 진하게, 줄간격 160, 들여쓰기 5pt, 위 한 줄 띄움 12pt

③ 1.1.1.(항): 바탕체 11pt 진하게, 줄간격 160, 들여쓰기 10pt, 위 한 줄 띄움 12pt

 

5. 본문

① 글자 크기 및 문단 모양: 바탕체 10pt,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장, 절, 항 위 한 줄 띄움 10pt

 

6. 장, 절과 본문의 예시


1. 들어가는 말(바탕체 12pt, 진하게, 줄간격 160)

(한 줄 띄기 10pt)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 목적은 그 외국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고, 진정한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줄 띄기 12pt)

2. 언어와 문화(바탕체 12pt, 진하게, 줄간격 160, 위 한줄 띄기 12pt)

(한 줄 띄기 10pt)

언어와 문화는…….

(한 줄 띄기 12pt)

2.1. 언어의 특성 (바탕체 11pt, 진하게, 들여쓰기 5pt, 줄간격 160, 위 한줄 띄기 12pt)

(한 줄 띄기 10pt)

언어란…….

(한 줄 띄기 12pt)

2.1.1. 문화의 개념 (바탕체 11pt, 진하게,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위 한줄 띄기 12pt)

(한 줄 띄기 10pt)

문화란…….

 

 

 

7. 외국어 초록

① 외국어 초록의 경우 영문 초록을 원칙으로 한다.

② 외국어 초록은 결론 뒤, 참고 문헌 앞에 위치하고 초록의 내용은 투고자 영문 이름, 투고 논문 영어 제목 순서로 작성한다.

③ 영문 제목의 경우 전치사를 제외한 영어의 첫 단어는 대문자로 한다.

④ 외국어 초록의 키워드는 국문 초록의 핵심어를 영문으로 번역한다. 외국어 초록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⑤ 영문 초록의 분량은 국문 초록과 마찬가지로 A4 용지 반 장(800자 내외, hwp의 문서 정보 기준) 이상으로 한다.


<Abstract>(바탕체 11p, 가운데 정렬, 줄간격 160)

투고자 영문 이름. 2022. 투고논문 영어 제목.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15. (영문초록 내용을 씁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바탕체 9pt,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한 줄 띄기 10pt)

Key words:




 

8. 인용문과 참고문헌

① 인용문의 기본 표기는 소괄호를 사용하고 인용한 쪽수를 쌍점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홍길동(2002: 20)에서는…….

② 저자가 두 사람일 경우는 가운뎃점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홍길동·임꺽정(2002:20)에서는…….

③ 저자가 3인 이상일 경우는 ‘외’를 사용하되 <참고문헌>에서는 저자의 이름을 모두 작성한다.

예) 홍길동 외(2002:20)에서는…….

④ 참고문헌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기타의 순서로 배열하되 게재지나 저서의 일부를 인용․ 참조하였을 때에는 해당 부분을 반드시 밝힌다.

⑤ 참고문헌이 학술지 논문의 경우는 다음 예시와 같이 작성한다.

예) 홍길동(2000),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교육연구>1,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6-45쪽.

Johnson, D. W., & Johnson, R. T.(1974), Instructional Goal Struct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 pp. 213-240.

⑥ 참고문헌이 학위 논문의 경우는 다음 예시와 같이 작성한다.

예) 홍길동(2001), 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내용 체계 연구, 한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⑦ 참고문헌이 저서의 경우 다음 예시와 같이 작성한다.

예) 홍길동(2010), <한국어교육론>, 세계출판사.

⑧ 참고문헌이 번역성의 경우 다음 예시와 같이 작성한다.

예) Irwin, J. W., 홍길동 역(2005), <한국어교재론>, 세계출판사.

⑨ 모든 참고문헌의 글자는 <참고문헌> 바탕체 11pt,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작성하고 참고문헌의 내용은 바탕체 9pt, 내어쓰기 30pt, 줄간격 160로 작성한다.


<참고 문헌> (바탕체 11p, 진하게, 가운데 정렬)

(한 줄 띄기 10pt)

김선정 외(2018), <한국어 표현 교육론>, 형설출판사.(바탕체 9pt,내어쓰기 30pt 줄간격 160)

이명화(2017),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14,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31-254쪽.

장수(2013),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를 위한 고급 쓰기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 설 지음, 한교연 옮김(2002),<한국어 교육사>, 한국어교육사.

홍길동(2019), 한글소설과 홍길동전 연구, <한국어 교육 연구>, 제29호, 한국어교육연구학회, pp. 7-42.

邪福乂(2022), <漢語復句的硏究>, 商務印書館.

角田太作(2022), <世界の言語と本語>, くろしお出版.

Flynn, S., Foley, C. & Vinnitskaya, I.(2004), The cumulative-enhancement model for language acquisition: Comparing adults’ and children’s patterns of development in first, second and third languag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lingualism 1(1), pp. 3-16.